유리 개구부의 정보표시
- 전문가 제언
-
○ 유리 개구부를 정보표시의 창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개구부에 사용되는 조광유리와 정보표시 디바이스의 일체화가 필요하다. 유리 개구부의 정보표시 창은 건물 벽이나 천정 또는 격벽에 정보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분야의 활동에도 도움이 되고 옥외 광고판 등에도 이용가능하며 이런 기술들은 터치기술을 가미시켜 스마트 폰 등에도 확대 적용되고 있다.
○ 이 문헌에서 에서는 정보표시 방법으로 전기광학 효과형 조광유리를 사용하는 것과 유리 개구부의 일부에 표시 디바이스를 일체화시키는 2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Transmart는 패턴 가공된 투명전극에 의한 복수의 segment 전극으로 유리개구부에 정보표시를 실현한 것이 특징이다. 또 투명상태에서 연마유리로 변환하는 시간이 msec로 액정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 정보제공시스템으로는 매우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 모바일 기기의 내구성 유지를 위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강도가 높은 커버 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일체화는 커버 유리와 LCD 패널 사이에 터치 센서가 있는 형태에서 그 센서가 커버 유리와 일체화됨을 의미한다. 터치 센서를 위해 중간에 필요했던 필름이나 유리가 불필요해지면서 슬림화, 경량화 등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 국내에서 유리 기판에 정보를 표시하는 분야에서 가장 많은 관심과 연구를 하는 분야는 스마트폰의 터치패널이다. 커버유리는 화학강화를 실시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여기에 터치패널 기능을 부가한 일체형 터치패널용 커버유리가 일반화되고 있다. 현재 일체형 터치패널은 LG이노텍, 멜파스, 이엘케이 등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국내 수행된 연구과제는 400건 이상으로, 관련 기술은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대에서도 터치 기능은 기본으로 장착될 것이다. 소재 기업들은 플렉서블 기기 시대에도 대응하기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대체 소재 연구 개발에 나서야 할 것이다. 또한 제조원가를 내리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저자
- Satoshi Niiya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3
- 권(호)
- 64(8)
- 잡지명
- 表面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29~433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