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로터스형 포러스금속의 내부마찰

전문가 제언

로터스형 포러스동의 내부마찰을 강제형 비틀림 진동형 장치로 측정하였는데, 600K 부근에 저온피크가, 700K 부근에 고온피크가 관찰되었다. 이들은 로터스형 포러스구조에 특유한 내부마찰은 아니고, 저온피크는 로터스동의 제조 시에 유입된 수소와 전위의 상호작용에 의한 내부마찰, 고온피크는 전위의 본래의 운동에 따르는 내부마찰인 것으로 추정된다.

 

K. Ota 등의 연구에서는 피크가 저온의 피크보다 높은 700~750K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고온피크에 상당한다고 여겨진다. 이는 수소가 적은 시료가 아닐까 추측된다. 수소의 고용량은 시료의 제작조건에 상당히 민감한 것은 시료제작 시의 인출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피크온도나 피크높이가 다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저온의 피크는 전위 본래의 운동에 의한 것이지만, 고온의 피크는 수소를 질질 끌면서 운동하고 있는 전위에 의한 것으로, 수소냉간 가공피크라 불리어지고 있다. 수소냉간 가공피크의 완화량은 저온의 피크와 같지만, 전위의 운동속도는 수소의 움직이는 속도에 의존하고 있다.

 

로터스동의 경우 전위의 운동이 수소의 존재로 용이하게 되는 등에 의하여 피크가 보다 저온으로 이동하여 저온피크로 관찰되는 가능성이 있다. 전위의 운동과 수소의 상호작용에 관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한 논문이 최근 발표되고 있다.

 

국내 현황은 현재 2곳에서 연간 약 500톤(주로 알루미늄계) 정도 생산하고 있으며, 일부 수출하고 있다. 전쟁 지역의 탄약 창고, 발전소, 변전소, 건물 및 공장 내벽의 방음벽, 내장재 등으로 주로 사용되며 점차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Yoshinari Osam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84(3)
잡지명
金屬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13~219
분석자
김*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