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규산염 유리의 강도에 미치는 표면처리 방법

전문가 제언

고체 표면에 물리적 혹은 화학적 작업 때문에 생긴 표면 에너지 감소는 강도와 내구성 감소, 취성 발생, 가소성 증가 및 기타 변화와 같은 기계적 성질이 바뀐다. Rebinder 효과라 알려진 흡착에 의한 강도 저하는 계면활성제 흡착, 비슷한 원자-분자 특성을 가진 용융체에 젖음, 화학 반응이나 외주 전장에 의한 정전하 생성, 그리고 유리 표면에 막이 생길 때 일어난다. 이런 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유리 표면 처리 방법을 달리한 광학계 유리(ASO)의 기계적 강도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ASO 생산에서 이 기술사용의 전망을 확인하려고 레이저 절단과 유리 표면 처리 효과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여러 가지 표면 처리한 유리에 중심 대칭 굽힘(CSB) 강도 측정을 위한 60×60×3㎜ 유리 시편을 마련하고, 3점 굽힘 강도 측정을 위하여 120×18×6㎜ 시편을 준비하였다.

 

표면 처리는 다음과 같다. 즉, 1) 이온 교환(IE), 2) 이온 교환 후 In2O3 박막 침전(박막은 압축과 인장력이 작용한다. 즉 시편을 굽힐 때 안쪽과 바깥쪽에 위치한다) 3) 이온 교환 후 In2O3 박막을 코팅하고 절연 차단으로 저항 회로 형성(박막은 압축 혹은 인장력을 받는다)

저자
M. E. Kustov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3
권(호)
70(5)
잡지명
Glass and Ceram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3~185
분석자
김*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