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이동 원리에 의한 가변 광 유체 장치
- 전문가 제언
-
○ 현재 세계적으로 광 유체 기술을 이용한 가변형 마이크로 장치의 상업적 이용은 주로 생물 및 의료 영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산업과 과학기술이 더욱 미세화되는 추세에서 광 유체 장치의 응용 범위는 의료용을 넘어 통신과 각종 전자부품 분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 광 유체 장치 가공의 기반이 되는 MEMS 기술은 이제 완성되고 널리 보급된 기술로서, 마이크로 및 나노 크기를 다루는 수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에 있는 우리나라는 이 분야의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어서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를 비롯한 많은 학술 분야의 학회에서 이를 다루고 있다.
○ 국내에서 MEMS 기술에 기초를 둔 가변형 광 유체 시스템의 연구개발은 많은 대학과 국책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다. 특히 KAIST의 KINC (KAIST Institute for Nano Century)와 광자유체집적소자연구단은 이 분야에서 국제적인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수행 중인 광 유체 장치 관련 연구개발은 주로 의료 응용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벤처기업 활동도 활발하여 국제 추세와 일치한다.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 정보공학부의 권성훈 교수 팀은 bio-MEMS와 광 유체 nanofabrication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또한 부산대학교 동력 및 서멀 매니지먼트 시스템 전공 대학원은 차세대 하이브리드 동력/에너지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광 유체 입자조절 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광 유체 장치는 그 첨단성에도 불구하고 장치 구성에 드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응용성이 커서 많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한 예로 2013년에 포항공대에서 개최된 스마트마이크로센서 워크숍에서는 광 유체 bio-MEMS 센서분야가 별도의 세션으로 설치되어 많은 국내외 전문가들의 활발한 발표와 토론이 있었다. 이는 앞으로 이 분야가 국가 주도의 국책 연구개발사업으로까지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저자
- Su X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3
- 권(호)
- 46()
- 잡지명
- Journal of Physics D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48300101~48300114
- 분석자
- 은*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