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New Horizon 우주선의 태양외계 행성과 KBO 관측

전문가 제언

지구로부터 약 43억km 거리에 있는 명왕성 가는 길에서 NASA의 New Horizon 우주선은 그 미션에 명왕성을 통과한 후 태양외계에서 얼음 같은 물체를 식별해야하는 문제에 당면했다. 카이퍼대(태양계를 둘러싼 폭 1,440억km의 먼지·얼음층) 물체(Kuiper belt object, KBO)의 만남은 2006년에 시작된 7억 달러 투자한 New Horizon 우주선 여행의 핵심이다. 현재 천문학자들이 지상 망원경을 사용하여 KBO를 발견하는 것은 기회가 아주 적고 지구주위를 돌고 있는 허블망원경으로 촬영하는 것은 보장하기 힘들다. New Horizon 우주선은 2015년 6월에 명왕성을 통과할 것이며, 그 후 바로 엔진을 점화하여 선택된 KBO를 통과하도록 코스를 잡아야 할 것이다. 과학자들은 향후 수개월간 New Horizon 우주선이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궤적설정을 해야 할 것이다.

 

이 미션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Arizona주 Tucson의 행성과학연소장인 Mark Sykes는 “시간이 다 되었다. 우리는 투자한 만큼 결과를 얻어야할 것이다”라고 말한다. New Horizon 과학자들은 사용신청이 넘친 허블망원경을 이용한 160개 궤도 관측을 요청했다. 허블망원경 사용시간 배정위원회는 6월 13일까지 시간배정을 결정할 것이다. New Horizon 우주선의 2개 표적은 명왕성과 KBO인데 각각 다른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Arizona주 Flagstaff에 있는 Lowell천문대 미션공동연구자인 Will Grundy는 “2개의 다른 과학계는 이들 결과에 대해 흥분하고 있다”고 말한다. New Horizon 우주선의 명왕성 통과는 최초의 명왕성과 그 위성의 접근관측이 될 것이며 2∼3년 후 KBO 접근은 태양계 초기의 타임캡슐인 원시적 얼음물체를 근접 관측하는 것이 될 것이다.

저자
A. Witze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14
권(호)
509()
잡지명
Nature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407~408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