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복합재 샌드위치 구조물에 적합한 코어 재료

전문가 제언

복합재료는 비강성과 비강도가 높고 우수한 피로 특성과 내마모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경량화에 유리하며 설계 단계에서 부품을 일체화하여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두 개의 외피 적층판 사이에 코어(core) 재료를 삽입하는 샌드위치 구조는 가볍고 굽힘 강도 및 강성이 크며, 진동에 대한 감쇠성도 뛰어나 항공기는 물론 선박, 철도, 스포츠 등 대형 구조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복합재 샌드위치 구조물은 코어 두께에 따른 최적설계를 통하여 세 가지의 하중조건(내압, 비틀림, 굽힘)에 대해 각 구조 개념의 좌굴계수, 파손지수, 고유진동수, 무게를 고려하여야 한다. 샌드위치 코어의 선택 조건은 코어 특성, 밀도, 수명주기성능 대비 총 제조비용의 균형을 고려하고, 열 저항(thermal resistance), 화학적 저항, 열전도도, 차음능력, 전기전도도, 진동감쇄, 내습성, 지속가능성 등을 검토하여야 하며, 다음으로 성형성과 적합성 등 제조 방법에 대해 고려하여야 한다.

 

해외에서는 복합재 구조의 충격 모델링(Abrate), 항공기용 샌드위치 패널의 저속충격 시뮬레이션(Meo 등) 등 복합재 구조 기술개발을 선도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항공기용 샌드위치 복합재 구조의 충격손상 거동연구(2013년, 공창덕 등) 등 67편의 논문과 샌드위치 코어 재료의 강화 방법 및 강화된 샌드위치 구조물(2008년, 게엠베하) 등 15건의 특허가 등록되는 등 복합재 적용기술 개발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샌드위치 코어용 폼 재료는 PVC 폼, 발사, Soric, Rohacell 등을 주로 사용하고, 허니콤 코어로는 알루미늄, Nomex를 사용하는데, 가구나 철도차량 등 일반 구조용도에는 국내에서 개발 생산된 재료를 사용한다. 그러나 항공우주 분야의 레이돔이나 B787 및 A380 등 항공기 구조물에는 대부분 수입재료를 사용한다. 향후 항공분야는 물론 자동차 부품을 복합재료로 대체하는 등 수요가 급증할 것을 대비하여 고품질 저가격 코어, 외피 및 적층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확대가필요하다.

 

저자
Damian Bannist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58(2)
잡지명
Reinforced Plas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2~37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