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크젯 인쇄 탄소 나노튜브/나노크리스털 하이브리드 광센서
- 전문가 제언
-
○ CNT(Carbon NanoTube)는 전기 전도도가 구리와 비슷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고 15%가 변형되어도 견딜 수 있다. 반도체와 평판 디스플레이, 초강력 섬유, 생체 센서 등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장치가 수없이 개발되고 있고, 나노 크기의 물질을 집어 옮기는 나노집게로도 활용되고 있는 등 전자공학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다.
○ CNT, 특히 NC(NanoCrystal)-CNT 혼성 체계가 CNT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전계효과 다이오드 등의 전자 및 광전자 장치에 널리 쓰인다. NC-CNT 기반의 잉크젯 인쇄 탐지기는 간단한 습식 화학기술로 만들어 정확한 파장을 조정할 수 있고 흡수된 NC 크기와 재료를 바꾸어주면 필요한 파장에 최적화할 수 있다.
○ 잉크젯 프린터 특히 3D 프린터는 맞춤형 생산 시대를 열고, 의료, 바이오 등 신사업 영역에서 차세대 정밀 가공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대량생산과 노동력에 의한 경쟁력을 희석시켜 제조업의 경쟁력 재편요인이 될 수도 있다. 3차원 물체가 ‘정보 상태’로 인터넷 공간을 돌아다니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서 음악과 동영상을 복제하듯이 물체를 복제할 수 있어 저작권 개념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CNT/NC 탐지기에 광이 흡수되면 NC와 CNT 안에서 들뜬다. 전하나 에너지는 CNT 표면으로 이동하고 표면 상태에 따라 포획되고 전도통로를 제어한다. 기질에 인쇄된 MWCNT-NC 기반 센서는 기질의 두 방향에서 빛을 흡수하지만 에너지는 대부분 투과시킨다. MWCNT 통로와 접촉점을 잉크젯으로 인쇄한 장치는 NC 흡수 스펙트럼뿐 아니라 MWCNT 스펙트럼에도 반응하는 조절할 수 있는 탐지 센서가 된다.
○ 근래 우리나라에서도 CNT에 대한 연구는 정부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여러 부문에서 매우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 CNT-NC를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하여 전자 및 전자광학 광센서로 이용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저자
- E. Katzir, S. Yochelis, Y. Paltiel, S. Azoubel, A. Shimoni, S. Magdass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96()
- 잡지명
- 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2~116
- 분석자
- 김*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