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 기기장치의 배치 및 배관설계
- 전문가 제언
-
○ 플랜트를 건설하기 위한 초기단계 설계엔지니어링인 기기배치작업(plot plan)은 배관설계에 있어서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 일본의 “기계설계”지는 플랜트 배관설계를 특집으로 다루었고, 이 자료는 총론부분으로 플랜트 배관설계의 앞 단계에서 이뤄지는 배치작업을 개관한다.
○ 플랜트를 구성하는 기기설비의 배치설계는 플랜트의 안전성, 경제성, 기기장치의 조작?보수?배치공사 특성 등이 주요 고려대상이다. 이 중에서 안전성을 포함한 사회적 요구특성은 각국이 법령이나 제도로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관련협회 등은 컴플라이언스, 설계지침, 기계적 강도 등에 대한 규정이나 지침을 규정한다.
○ 배치설계에서 설계엔지니어링 제공자는 플랜트운전의 안전?조작?보수 및 공사시공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코스트를 최소화하기 위한 경제성을 중요하게 반영한다. 배치설계 작업에 고려하는 제약조건들은 플랜트설계의 최적화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준수항목을 제외한 추천항목에 대해서는 자유도가 높은 변경설계 엔지니어링이 가능하다.
○ 우리나라는 70년대 이후 산업화과정을 거치면서 플랜트설계 엔지니어링기술을 축적해왔고, 해외건설과 플랜트 수출을 통해 플랜트 관련기술(토건 및 플랜트설계 엔지니어링) 경쟁력을 키워왔다. 그간 발전, 석유화학을 비롯한 각종 플랜트의 국산화 수출과 엔지니어링 서비스 실적이 이를 대변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토건과 기기장치 등 하드웨어에서 리드할 뿐 플랜트 엔지니어링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 플랜트설계 엔지니어링은 기계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화학, 재료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하여 시스템화 하는 기술이다. 이 능력의 경쟁력은 요소기기 장치와 토건부문을 동반 공급하는데 유리한 특징이 있다. 향후, 해양, 환경, 신재생에너지, 바이오 등 새로운 플랜트 수요에 대응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 설계엔지니어링 기술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KOSHIBA Daig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58(2)
- 잡지명
- 機械設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2~16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