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방음 설계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 실내소음의 주요 원인은 엔진이나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차체구조에 입력, 진동 전반하여 차체 패널의 진동에 의해 생기는 방사음에서의 소음과 엔진이나 타이어가 직접 내는 소음이 차체 패널 등을 투과하여 생기는 소음이다. 이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강성(剛性)의 향상, 저소음 재료의 채택, 방진고무의 삽입, 진동흡수 댐퍼의 사용 등 설계단계에서 저소음화를 기하는 방법과, 발생한 음을 속히 감쇠시켜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방법이 있다.
○ 본고는 자동차에서의 실내 소음의 종류와 그것을 줄이는 대책에 관해 기술한다. 소음 대책을 위한 부위 파악에 차체의 각 패널에서의 방사음이나 투과음의, 탑승자 귀 위치에서의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에 대한 기여해석이 중요하다. 이 기여해석을 위해 종전의 Modal해석법을 보완하는 새로운 해석수법으로 전달경로해석(transfer path analysis, TPA), 통계적 에너지 해석(statistical energy analysis, SEA)으로 음향전반 특성을 개선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 국내의 카이스트, 울트리파크, 비아노, 한국진동소음공학회 등 진동을 연구하는 단체에서 자동차의 주요 소음원에 입력 센서를 설치하여 읽어 들인 데이터를 변환하여 노이즈 반대파의 주파수를 생산하여 이를 증폭하여 소음을 상쇄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머지않아 실제 이를 적용한 자동차의 출고도 기대되고 있다.
○ 자동차의 방음 대책에는 자동차의 소음과 진동이 실내로 유입을 막는 소극적인 방법과 그 소음원을 없애거나 억제하는 적극적인 방법이 있는데 소극적인 방법은 현재 많이 개발되고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적극적인 방법은 자동차 메이커나 연구소에서 연구 중이나 아직 실용화 단계는 아닌 것 같다. 글로벌 경쟁 상황인 자동차 산업에서 적극적인 소음 대책이 당면 과제라 생각된다.
- 저자
- Sugihara Tsuyo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26(2)
- 잡지명
- 成型加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9~64
- 분석자
- 최*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