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지방단백질 분비의 새로운 조절자
- 전문가 제언
-
○ 동맥경화증은 혈관 내에 죽상경화 플라그가 생성되어 혈관을 막음으로써 생기는 병이다. 혈류 내 과잉의 LDL은 산화하여 oxLDL로 전환되고 대식세포가 oxLDL을 흡입하여 거품세포를 형성한다. 이 거품세포가 혈관의 내벽에 걸려서 죽상경화 플라그 형성의 원인이 된다. 동맥경화증은 다인성 질병이지만 혈장의 LDL 수준 증가의 주요원인은 LDL 수용체의 돌연변이임이 밝혀졌다.
○ 간의 apoB100-함유 VLDL의 과잉생산은 문서로 잘 입증되어 있으나 장의 apoB48-함유 chylomycron 입자의 혈장 농도의 증가와 식후 이상지질혈증은 인슐린 저항 상태에서 증명되었고 근래에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장 lipoprotein 분비의 조절인자인 단당류, 혈장의 유리지방산(FFA), resveratral, 장 펩티드(예로 GLP-1, GLP-2) 및 췌장 호르몬(인슐린)의 조절작용을 논의하였다.
○ Incretin은 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고 GLP-1과 GIP가 이 호르몬의 예이고 효소 DPP-4에 의해 빨리 분해된다. Incretin에 의거한 치료는 글루코오스 저하뿐만 아니라 혈장지방의 개선효과도 나타낸다. GLP-1R 작동인자와 DPP-4 억제제는 고지혈증 개선능력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 식물에서 얻은 폴리페놀인 resveratral은 인슐린 민감성 증가, 글루코오스 내성과 지질 프로필의 개선, 지방간의 예방, 미토콘드리아 기능증진,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의 감소 및 수명연장 등의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 최근 연구에서 resveratral은 과체중과 비만에서 triglyceride-rich lipoproteins(TRL; VLDL, LDL, 및 chylomycron) 생성에 대해서 유리한 효과를 나타냈다.
○ 동맥경화증은 흔하고 심각한 질병인 만큼 국내 대학과 연구소 및 종합병원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예로 염증과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인 FIZZ1의 기능을 당뇨성 동맥경화증 마우스 모델에서 지방대사 및 콜레스테롤 배출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려면 혈류속의 콜레스테롤 수준의 조절에 대한 분자메커니즘이 밝혀져야 하겠다.
- 저자
- Changting Xiao, Satya Dash, Cecilia Morgantini, Gary F. Lewi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233()
- 잡지명
- Atherosclerosi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08~615
- 분석자
- 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