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능보완재로서 탄소나노섬유의 에너지와 환경분야 응용

전문가 제언

흡착제나 보강재 등으로 널리 이용되어 탄소재는 최근의 나노탄소 연구에 의해 다양한 나노탄소종이 개발되어 기존의 탄소재보다 높은 규칙성과 균일성을 가진 고표면적 탄소의 새로운 기능에 크게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나노섬유(CNF)는 다양한 섬유상 형상과 표면구조 이외에 기존의 카본블랙보다 높은 결정과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적절하게 표면을 수식하고 세공을 제어하면 도전성 복합 재료나 열전도 재료, 촉매담체, 흡착 재료 등의 에너지 디바이스나 환경보전재료 등으로 폭넓은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CNF는 높은 제조비용이나 나노사이즈에서 유래하는 취급의 곤란성, 나노재료의 잠재적인 건강리스크에 대한 염려 등 때문에 CNF 단독으로 사용하는 응용분야 개척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CNF를 에너지나 환경 분야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최적구조를 가진 CNF를 선택적으로 제조하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구조적인 수식을 통해 요구되는 기능을 발현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특징적인 물성을 가지는 CNF를 타 재료와 복합화하여 기능보완재로서 이용하는 시도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고는 CNF를 타 기능재료와 복합하여 리튬 이온전지의 사이클 특성과 레이트를 개선하고 연료전지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에 이용하며 새집증후군의 가스 제거 등의 용도에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여 보고한 것이다. 그 이외에 CNF는 복합화에 의해 내화물의 내열충격성 및 내슬러그성의 대폭적인 향상에 이용할 수 있으며 활성탄소 섬유에 CNF를 성장시킨 복합재는 배연가스의 높은 탈류 및 탈질 특성을 발현하는 용도에 이용도 가능하다. 국내에서도 탄소 나노섬유 제조와 이용에 대한 연구(리튬 이온전지, 금속복합재료, 매트 등)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KAIST의 한 연구팀은 초고강도 전도성 탄소 나노섬유의 개발에 성공하는 등 앞으로 이 분야가 크게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Jin Miyawaki, Isao Mochida, Seong-Ho Yo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3
권(호)
2013(260)
잡지명
炭素(Tanso)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13~319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