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능성 성분으로서 스핑고지질의 소화와 흡수
- 전문가 제언
-
○ 스핑고지질(sphingolipid)이란 스핑고이드 염기를 구성성분으로 하는 지질의 총칭으로 세포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용성 물질이다. 가장 간단한 구조의 스핑고지질은 세라마이드(스핑고신+지방산)로 식물이나 동물의 조직에 소량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 인체 내에서 스핑고지질은 스핑고신, 파이토스핑고신, 스핑가닌을 기본 골격으로 하여 지방산이 연결된 형태인 세라마이드와 그 유도체가 300종류 이상 있다. 스핑고지질은 기원에 따라 동물성 세라마이드, 합성 세라마이드, 효모발효를 통한 세라마이드 등 3가지로 구분한다.
○ 스핑고지질에 대한 연구는 1874년 Thudichum이 뇌 추출물에서 미지의 수수께끼(Sphinx) 물질이라 명명하여 cerebroside, sphingomyelin의 발견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뇌나 중추신경계 조직의 구조해석과 지질축적증(sphingolipidosis)의 해명을 위하여 연구되었고, 이후 생체막의 구성성분으로서 세포의 성장, 증식, 분화의 조절과 영양소의 역할 등 생명현상의 핵심적 역할이 밝혀지고 있다.
○ 스핑고지질은 세포의 분화나 아폽토시스 등 생명현상과 관련하여 최근 기능성 성분으로서 피부장벽 향상작용이 주목받고 있다. 이미 화장품의 보습원료로 보편화되었고 아토피 피부염 등 피부질환 기능성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곤약, 소맥, 미강, 옥수수유래 식물성 세라마이드는 미용식품, 화장품, 멜라닌색소 억제 등으로 응용되고 있다.
○ 글리코실세라마이드나 스핑고미엘린 등 스핑고지질은 소장에서 흡수?가수분해 되어 소장 상피세포에서 흡수되는데, 분해효율과 흡수율도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물실험에서 식물유래 글루코실세라마이드나 동물유래 스핑고미엘린의 섭취 영향을 조사한 결과, 스핑고지질 극소량(0.1%)의 첨가로 유의한 회복촉진 효과를 본 보고서에서 소개하였다. 스핑고지질의 유효이용을 위해 스핑고지질 대사의 메커니즘 등 선택적 흡수기구와 효능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Sugaw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3
- 권(호)
- 66(4)
- 잡지명
- 日本榮養食糧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77~183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