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카본을 사용한 약물 송달시스템의 검토

전문가 제언

흑연의 기본구조인 탄소 육각망면인 그래핀은 유연성, 광투과성, 도전성, 고열전도성, 고속의 반도체 특성 등의 뛰어난 재료특성을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태양전지, 자동차, 의료분야 및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관련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전략적 핵심소재로 인정받고 있다.

 

카본나노혼(carbon nanohorn, CNH)은 직경 2~5nm, 길이 40~50nm의 그래핀 1매로 구성되는 의원통형 물질이다. 보통 수천 개의 CNH가 모여서 직경 100nm 정도의 집합체를 구성하고 있다. CNH은 질량당 표면적이 아주 커서 흡착제, 촉매담지체로서 높은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연료전지의 전극재료나 가스흡장재로서 실용화에 가장 가까운 나노카본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본고는 나노카본의 바이오 응용연구, 특히 약물 송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의 연구와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중요한 생체내 분포, 분해와 생체외 배출에 관한 연구 성과를 소개한 것이다

 

CNH이 환부에 약물을 송달하고 릴리스하기 위해서는 CNH 집합체를 개개의 CHN으로 분리하고 원통형의 선단을 개공하고 개공된 CNH 내부에 물질을 내포시켜야 하며 생체에 적응이 쉽도록 소수성의 CHN을 친수성으로 바꾸어야 한다. CNH은 여러 동물실험으로 단기독성이 확인되지 않으며 개공이 가능하고 물질의 내포가 가능하여 항암제인 시스프라틴을 내포한 항암제가 서서히 방출되어 암세포를 사멸한 임상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그래핀은 우리나라가 세계를 리드하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로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탄소나노혼, 복합탄소나노재료 등 나노구조 탄소 물질의 합성과 응용에 관한 연구와 실용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의료분야로의 연구 확대가 요망된다. 본고는 의료분야에 탄소나노재료의 이용연구에 유익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Minfang Zhang, Masako Yudasaka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3
권(호)
2013(260)
잡지명
炭素(Tanso)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06~312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