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양면성 촉진현상의 식물 생산성 및 보호 증진효과 활용방안

전문가 제언

인구증가와 세계의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제한된 농경지에서 작물의 생산성 증가와 스트레스내성을 시급히 증대시킬 필요성이 있다. 많은 독성물질은 낮은 농도에서 식물 생산성 증대 혹은 스트레스내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유익한 효과, 즉 양면성 촉진반응(hormesis)는 긍정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

 

낮은 농도에서 제초제의 촉진효과를 상업적으로 이용한 사례는 사탕수수에서 설탕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glyphosate의 낮은 농도 처리방법으로,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초제 lactofen은 균핵병(Sclerotina sclerotioruum)에 대한 작물저항성 유도제로 사용되고 있다.

 

양면성 촉진현상을 활용할 수 없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좁은 농도반응 폭이다. 양면성 촉진현상을 활용하기 위하여 생물체의 촉진반응 후에 조정된 작물의 유전시스템의 생물정보 분석과 생장 또는 보호를 증진하는 화합물 선발뿐 아니라 형질전환 육종을 위한 지식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촉진현상 작동체에 의하여 발현이 온오프 제어되는 구조 및 조절 유전자는 생장촉진 혹은 보호 증진에 중요하다. 또한 구조유전자와 그 조절요인은 농업조건에서 생장, 수량 혹은 작물보호 증대를 위하여 생물공학적 조절을 위한 우수한 타깃이 될 것이다.

 

외국에서는 의학, 약학, 독성학 분야에서 약량 생장반응, 분류학적인 화학적 양면성, 스트레스와 노화반응, 항산화반응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제초제를 포함한 화학물질에 의한 식물생장 촉진현상에 관한 연구가 아직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저농도 화합물의 생장촉진 반응에 대한 후보물질 선발 및 작물 선택성 연구와 작물생산 체계에서 합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저자
Gressel, J. and Dodds, J.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3
권(호)
213()
잡지명
Pla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3~127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