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란 남동쪽 Gowk 단층의 제4기 후기 활단층작용과 풍경 진화

전문가 제언

이 연구는 Gowk 단층에 의해 변위된 South Golbaf 분지의 호수 바닥 퇴적층과 분지 북쪽 가장자리의 충적선상지 자갈층 내에서 장석 입자를 분리하여 구한 IRSL 연령을 제시하고 있다. 이 자료를 볼 때 South Golbaf 분지의 호수 퇴적작용은 적어도 13.5ka부터 홀로세 중엽까지 지속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6.3±0.2ka에 South Golbaf 고 호수 물이 근접해있는 Golbaf 분지로 흘러들어감에 따라 호수 바닥과 주변의 충적선상지 표면에 광범한 하각작용이 일어난 것 같다.

 

이 연구는 고 호수 종료 연령과 호수 바닥을 하각한 하천이 보여주는 30±5m의 우수변위를 결합하여 3.8-5.7mm/yr의 슬립속도를 계산하였다. 또 호수 가장자리에 발달하는 충적선상지의 퇴적 종료 연령 12.9±0.7ka와 선상지 표면을 하각하고 있는 하천의 60m 우수변위를 사용하여 4.4-4.9mm/yr의 두 번째 슬립속도를 구하였다.

 

아마도 약 12.9ka의 선상지 표면에서 하천의 광범한 하각작용은 약 6ka까지는 일어난 것으로 보이지 않지만 South Golbaf 고 호수 물이 넘침에 따라 광범한 수계 하각이 촉진된 것은 분명한 것 같다.

 

한반도 제4기 활단층 연구에서도 슬립속도, 재발간격, 고 지진 규모 등을 추정하기 위해서 하성 단구 퇴적층과 충적선상지 퇴적물을 대상으로 절대 연령 측정을 시도하고 있다. 이들 퇴적물 속에 숯 등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방사성 탄소 연령측정 방법으로 보다 쉽고 정확한 퇴적 연령을 구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OSL(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연령을 얻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 이 연구에서처럼 장석입자를 이용한 IRSL 연령을 얻기 위한 시도는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앞으로 이 방법을 도입하여 석영 OSL 결과와 비교하여 상호 보완하는 연구가 수행된다면 지금보다 양질의 연령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 Fattahi, R.T.Walker, M. Talebian, R.A. Sloanc, A. Rasheed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04()
잡지명
Geomorph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34~343
분석자
장*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