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사체학과 시스템약리학

전문가 제언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 내 환경 조절기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항상성(homeostasis)과 환경변화와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생물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생리학적(physiological), 행동학적(behavioral) 변화로 생체적응(allostasis)의 원리를 총괄하는 개념으로 생물세포 내 대사, 유전자 조절과정 그리고 신호전달 체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세포내 또는 세포 간 상호관계에 대한 동적거동을 체계적으로 해석하려는 학문이다.

 

생물체를 시스템으로 간주하고, 게놈, 유전자의 발상, 생체분자, 이들 사이의 네트워크 등을 망라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합적으로 해석하는 생물학의 분야를 시스템 생물학이라고 하고 시스템 약리학(systems pharmacology)은 약리학 분야에 시스템 생물학 원리의 응용이다.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이 필수적이며, 때로는 컴퓨터를 이용한 분자모델링 (molecular simulation)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1980 년대부터 부각되었고, 1990년대 후반에서야 세포 전체에 대한 모델링과 모사가 이루어졌으며 국내에서는 2002년 한국 시스템 생물학 연구회가 결성되고, 2003년 국내 최초로 제1회 서울 시스템생물학 국제심포지엄이 개최되면서 시스템생물학에 대해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Recon2는 현재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인간대사 네트워크 재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선천성 대사이상의 효과와 대사산물들이 외부대사 산물들이며, 신진대사가 조직과 세포구획 간에 어떻게 변하는가이지만 이러한 네트워크 모델은 아직 완료되지 않았으며, 우리의 이해향상으로 더 명확하게 시스템 약리학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냉소적으로 묘사하는 Eroom의 법칙이 무색하도록 신약의 수가 늘어나기를 기대한다.

저자
Douglas B. Kell and Royston Goodacr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9(2)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71~182
분석자
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