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농약노출과 아동건강에 대한 재고
- 전문가 제언
-
○ 농약은 농작물 및 화초 등에 해로운 병해충을 없애거나 농작물을 성장시키고 발육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약품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살서제, 살비제, 살선충제 등이 있다. 농약사용으로 인해 농작물의 생산성이 증가하고 경작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나 반면에 여러 가지 악영향도 나타나고 있는데, 농약에 의한 중독, 환경오염, 자연계의 평형파괴,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충의 발생 등으로 결국에는 인간건강에 위해를 끼칠 수 있다.
○ 국내에서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 “농약관리법”, “폐기물관리법”,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 “수질환경보존법” 등을 통해 농약을 관리하고 있으며, 환경 중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전국적인 오염도 측정을 실시하여 향후 관리계획에 반영하고 있는데, 2008년도에 환경부에서 실시한 환경 중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실태조사에 따르면 알드린 등 유기염소계 농약 9종이 대기 중 일부에서 검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현재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아토피, 천식 등의 환경성 질환의 원인으로 농약 등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확산을 들 수 있는데, 환경부에서도 화학물질 노출에 취약한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환경부가 수립한 계획에는 유해제품으로부터 어린이 건강보호 등 6개의 항목을 정하고, 구체적인 유해화학물질들도 명시하고 있는데 이들 화학물질에는 가정용 살충제 및 제초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
○ 정부에서는 “환경보건 원년”을 선언하면서 환경보건정책 중장기 로드맵으로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발표하고 있는데, 그 속에 환경오염과 화학물질 노출에 민감한 어린이 건강보호에 눈높이를 둔 환경보건 정책을 집중해서 추진하고 있다. 미래세대의 주역인 어린이들을 쾌적한 환경에서 건강하게 자라게 하기 위해서는 기성세대가 환경보전을 위해서 한 가지라도 몸소 실천하는 모습을 어린이들에게 보여주는 자세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Guodong Ding, Yixiao Ba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472()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89~295
- 분석자
- 황*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