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간 성장호르몬(hGH) 수용체의 신호전달 기전: 가위 모델

전문가 제언

다세포 생물의 생명현상 중 많은 것들이 외인성 및 내재성 신호물질들이 막수용체들에 결합하여 세포 내로의 신호전달에 이은 세포 행동들을 유발하는 소통에 의존한다. 폴리펩티드 호르몬들이 어떻게 수용체들에 결합하고 활성화되는지를 알게 한 첫 번째 체계 중 하나가 사람 성장호르몬(hGH)이다. 약 20년 전 hGH가 두 개의 동질 2량체로 된 hGH 수용체(hGHR)에 결합한다는 것이 알려졌지만, 그 상세한 신호전달 체계에 관한 것은 불명확하였다. Brooks 등(Science, 344, 1249783, 2014)은 hGH-hGHR 작용이 단계적으로 클램핑(clamping), 회전하기(rotating), 기울어지기(tilting) 및 관통막 수용체 2량체의 다른 부위들로의 벌어지기(splaying)에 의해 수용체 활성화가 일어난다는 매력적인 다단계 가위-유사 기계적 모델(가위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hGHR은 ECD(세포외 도메인)에 연결된 JMD(막 근접 도메인)-TMD(막관통 도메인)-ICD(세포내 도메인)로 구성된 두 개의 소단위로 이루어진 동질2량체이다. 이 수용체에 GH가 결합하지 않은 경우, GHR은 TMD의 미약한 상호작용들, JMD의 정전 반발력 및 ICD에 결합하여 있는 JAK2(Janus kinas-2; psedokinase 도메인과 kinase 도메인으로 구성된 동질2량체)의 pseudo- kinase 저해로 ECD가 벌어진 형태의 불활성형의 2량체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처럼 동질2량체의 hGH 수용체가 어떻게 불활성 상태를 유지하며 호르몬 결합이 어떻게 활성화 상태를 유도하고, 세포 밖에서의 호르몬 결합이 어떻게 세포 내 JAK2 신호계를 활성화하는 지에 관해서는 잘 몰랐다.

저자
James A. Wells and Anthony A. Kossiakoff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344()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03~704
분석자
강*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