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방향소취제의 경향과 소비자의 기호성

전문가 제언

인간의 후각적 경험은 사람, 제품, 어떤 공간을 처음 대면하였을 때 안정성과 청결성에 대한 감성적 판단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후각을 통해 기억된 자극은 다른 감각기관을 통해 인지된 자극에 비해 감성적 경험이 강하게 남는 특성이 있다. 특히 가정용 방향제품의 경우 휴식이나 집중력 향상 등에 기능성을 부여하게 되며 불쾌한 냄새를 마스킹하거나 혐오스러운 냄새를 소멸시켜 좋은 냄새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내용 방향소취제의 향기타입을 보면 플로럴타입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로즈를 표현한 향조가 많았다. 애플, 피치, 오렌지 등의 트로피칼 프루트를 함유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토일렛용에서는 프루트타입에서 여지와 카시스의 향기로 맑은 이미지를 부여하고 있다. 의류용에서는 스프레이 타입으로 미향성과 향기가 남지 않는 타입이 많고 소취를 포함한 기능성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자동차용은 여성을 목표로 한 시장 확대가 이루어지며 머스크 타입이 선호하는 향조의 추세이다.

 

방향소취제 시장에서 실내용, 토일렛용, 의류용 모두 기존고객의 재구매와 신규고객의 획득이 시장확대에 필수적이다. 기존 브랜드의 리뉴얼이나 기간 한정품에 의한 홍보나 디자인의 추구 등 소비자 구매의욕을 높이는 노력이 현저하며 자동차용은 방향제뿐 아니라 소취제의 인지도도 향상되고 있다.

 

국내의 연구에서 석 등은 2011(감성과학)의 “휴식 및 집중 환경에서 방향제품의 감성적 영향”에서 뇌파를 이용하여 솔잎향이 거실환경에서 긴장완화 및 집중력강화에 효과적임을 발표한 바 있으나 향조타입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방향소취제의 사용은 쾌적한 생활, 일하는 방법,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접근 및 건강증진으로 인하여 의류용과 자동차에의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밀폐공간에서 과다 사용은 환기부족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으므로 안전성에 대한 적절한 기준설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Akiko Yasuka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261()
잡지명
香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1~68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