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렴구균 질환 예방을 위한 소아용 백신이 성인에도 성공할 것인가?

전문가 제언

그람 양성의 쌍구균인 Streptococcus pneumoniae는 급성 중이염, 폐렴, 균혈증,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 하나다. 폐렴구균 침습성 감염은 영아, 소아와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국내 사망원인 중 폐렴이 노령 인구의 급증으로 2011년 6위로 상승하였고, 지역사회 폐렴환자 중에서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 발생 빈도는 12.1~30.9%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폐렴구균 백신은 현재 균체의 협막 다당류만을 사용한 폐렴구균 다당류백신(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PPSV)과 다당류에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결합시킨 폐렴구균 결합백신(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PCV) 두 종류가 국제적으로 가용하다. 미국과 한국 모두 연령과 건강 위험에 따라 PCV7, PCV13 또는 PPSV23을 예방접종하고 있다.

 

전 세계 백신시장의 규모는 연평균 11.5%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데 이를 견인하는 것은 인플루엔자 백신, 폐렴구균 백신과 같은 프리미엄 백신이다. 현재 제품화된 폐렴구균 백신(PPCV23, PCV7, PCV13)의 개발 생산도 대부분 세계적인 대형 백신제약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2013년 유럽호흡기학회 역사상 처음으로 폐렴 예방백신을 주제로 심포지엄이 열리는 등 폐렴구균 백신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도 폐렴구균 백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최근 연령에 따라 PCV13 또는 PPSV23을 무료 접종하고 있다. 최근 국내 백신시장 규모가 증가하고 국내 제약사에 의한 백신의 국산화, 해외 진출, 세계 최대 백신기업과 차세대 폐렴구균 백신의 공동개발 등 백신산업의 활성화가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하지만 백신 전체 백신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폐렴구균 백신과 같은 프리미엄 백신 개발에 한층 적극적이어야 한다.

 

PCV13은 PPSV23 다당류 백신에 비교하여 열등하지 않은 면역반응을 성인에서 유발하지만 임상효능이 아동에서와 같이 성인에게 나타난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2014년 네덜란드에서 실시되는 CAPITA 임상시험과 효율적인 폐렴 질환 감시 체계는 성인을 위한 폐렴구균 백신접종 정책을 결정하는 데 필수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다.

저자
Catherine Weil-Olivier, Jacques Gailla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32()
잡지명
Vac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022~2026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