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보호구역 네트워크의 입증가능성
- 전문가 제언
-
2010년 유엔생물다양성협약(UNCBD) 당사국총회에서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2020년까지는 적어도 해안지대의 10%를 해안경관과 연계한 해양보호구역 지정을 세계목표로 설정함으로서 2020 의제는 세계 해양보호구역(MPA) 네트워크 확립이 요하게 되었다. 본고에서 사용되는 MPA 용어는 본 목표에서 정의한 형태의 해양보호구역을 의미한다.
MPA 네트워크는 MPA와는 명확하게 식별되어야 하며, MPA 세트는 지리구 내 보호구역의 한 그룹이거나 해양 생물다양성의 구성요소를 집합적으로 대표하는 지역으로 MPA의 일관된 세트는 앞서 정의한 목표를 집합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지역이다. 현재 MPA 네트워크는 자주 사용되고 있지만 전혀 정의되지 않았거나 빈약한 정의로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MPA에 반하여 국가나 지역 MPA 네트워크는 모든 서식지형태의 반복과 함께 멀티사이트 구성으로 정의되며, 해양학적으로 연결되어 개별 또는 전체적으로 충분한 크기를 가져 최소한의 개체군별 종에 대한 변이를 유지할 수 있고 여기에 서식하는 종은 한 MPA에서 다른 지역으로 동원하여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다.
- 저자
- JOHN C. ROFF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24()
- 잡지명
-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4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