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형 무인항공기 시스템

전문가 제언

무인항공기(UAV)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항공기를 말한다. 이것을 무인조종이란 의미인 드론(drone)이라고도 부른다. 최근 북한의 무인기가 휴전선 이남에서 추락한 사건이 발생하여 무인기에 관한 국민적 관심을 이끌고 있다.

 

세계적으로 무인항공기는 1965년경 미국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재해예방, 교통상황 파악, 영화나 다큐멘터리 영상 촬영 등의 민간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재 무인항공기에 대한 개발 및 제조는 선진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미국이 세계 시장의 70%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의해서 1990년 경 군사용으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즉 국방과학연구소(ADD), 성우엔지니어링, 한국항공우주산업(주)(KAI) 등이 개발 착수하여 2001년에 정찰용 무인기 송골매를 개발하고 실전에 배치했다. 그 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대한항공, 엑스드론, 한국무인항공 등 다수의 민간기업이 이 사업에 참여하여 군사용 외에 민간용 무인기도 개발하고 있다.

 

무인항공기의 성능 수준은 크기, 속도, 비행고도, 비행거리; 운용시간, 신호 전송거리, 카메라 해상도, 등 매우 다양하다. 재료과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항공기의 성능은 기체 중량과 관련성이 깊다. 즉 본체나 내장되는 부품은 가볍고 작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재료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앞으로 무인 항공기 시장은 크게 확대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항공기의 소형·경량화를 위해서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과 같은 복합재료나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신소재가 관심을 받게 될 것이다. 또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자 디바이스나 모듈, 광학기기용 각종 재료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관련 기술이 크게 기여할 것이다.

저자
Akihisa Wada, Toshiaki Yamashita, Masaaki Maruyama, Takanari Arai, Hideo Adachi, Hirokazu Tsuj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3
권(호)
66(1)
잡지명
NEC 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3~67
분석자
허*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