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회?환경의 개선을 지향하는 절전행동 촉진 시스템

전문가 제언

본고에서는 사회적 가치 디자인의 사례로서 사회?환경의 개선을 지향하는 절전행위 촉진 시스템의 개발과 일본 관서지역 게이한나 문화학술 연구도시 및 스웨덴의 셸 레프 테오(Skelleftea) 시에서 실증실험의 대처를 소개하고 있다. 심리학 조사에 의해 판명한 심리학요인을 행동가시화 방법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양 지구에서의 실증실험에서 행동촉진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실하게 되었다. 또 일본과 스웨덴에서는 공통적으로 중시되는 심리학 요인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택 및 건축물에서의 CO 배출량 삭감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주택 및 건축물의 기본적인 성능향상이라는 하드웨어적인 부분과 주거방식 및 사용방법 등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함께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에너지 소비량은 주거방식 및 사용방법에 의해 달라지기 때문에 주택 및 건축물과 설비성능의 표시뿐만 아니라 실제 에너지소비량 등을 “가시화”함으로써 스스로 주거방식 및 사용방법에 관해 관심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 및 기업이 저탄소사회 구축을 위한 의식을 고취시킴으로써 절전 및 절수 등 가정과 사무실에서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에너지절약 및 녹색도시를 향한 활동은 주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시책으로 추진되고 있다. 영국의 뉴캐슬지방에서 시민의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세대별 탄소배출량을 계산하여 감축방법 등을 시민에게 알려줄 수 있는 웹사이트를 정비하고 중소기업과 사업소를 대상으로 탄소배출감축 대책에 대해 조언을 제시한다. 일본에서도 그린환경을 위한 12대 정책과제의 하나로 가시화에 따른 현명한 선택의 추진목표로 에너지절약 효과와 제품 환경정보의 가시화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0년 한국과학기술 한림원에서 녹색도시 모니터링 및 진단 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속적인 도시 시스템에 대한 관찰 및 모니터링을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 체계와 피드백의 중요성을 주장하였고, 경기도가 공공건물의 온실가스 절감을 위해 기존 공공건물의 에너지 성능표시 제도의 의무화를 발표한 바 있다.

저자
Rie TANAKA, Shinichi TOUI, Taku KONI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4
권(호)
66(3)
잡지명
NEC 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3~47
분석자
권*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