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의 지질 감응과 에너지 균형 조절

전문가 제언

현대인에게 비만은 2형 당뇨, 심혈관 질환 등 대사성 질병의 발생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쳐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전 세계적으로 커다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려고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엄청나게 많은 연구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상황은 오히려 더 나빠지고 있다.

포유동물에서는 중추신경계의 에너지 균형 조절 과정에 시상하부와 뇌간으로 탐지되는 호르몬과 영양분으로 만들어지는 신호의 조합이 포함된다. 시상하부는 뇌간의 일부이며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여 배고픔, 목마름, 더위와 추위 느낌 및 분노와 공포에 대한 반응 방법 등을 알려준다. 시상하부는 지방산에 감응하여 인슐린 분비와 활성, 간의 포도당 생산과 지방 축적 및 식품섭취 제어 등 에너지 조절 역할을 한다.

 

뇌의 지방산(Fatty Acid: FA) 감응 분자메커니즘에는 혈장 막단백질뿐 아니라 ACS(Acyl-CoA Synthase)와 FA 산화 등 세포 내 작용이 포함된다. 비교적 많은 시상하부 뉴런이 FA 센서 역할을 하지만 포도당-감응 뉴런은 주변 포도당 농도에 의존한다. 시상하부 FA 감응 뉴런의 반응은 신체의 대사 상태에 따라 금식과 과식 상태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

 

FA 민감 뉴런의 고장은 에너지와 포도당 항상성의 손상 및 비만과 2형 당뇨 발병의 기본적인 기제이다. 그러나 FA 감응과 뉴런의 대사메커니즘, 감응 뉴런의 위치 및 FA와 반응할 때 어떤 신경 전달체/펩티드가 방출되는지도 잘 알지 못한다. FA와 포도당을 포함하는 영양-감응 능력을 더 잘 이해하면 당뇨와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새로운 치유법이 개발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가지 지방산 섭취가 지질성분 및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 등 지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여러 생명과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시상하부에서 FA와 뉴런의 대사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도 있다. 지방산 감응 분자에 대한 이해로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 연구 노력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V.-S. Moulle, A. Picard, C. Le Foll, B.-E. Levin, C. Magn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40()
잡지명
Diabetes & Metabolism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9~33
분석자
김*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