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연산림훼손 및 REDD+ 기획구상의 설계

전문가 제언

가장 좋은 가용한 과학으로 생태계를 관리하고 보존한다는 것은 의도하는 목표를 충족시키고 긴급 혼란사태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아주 긴요하다. REDD+ 기획구상을 위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공정한 정책을 설계하는 것은 산림벌채와 산림훼손의 발생요인을 바로 식별하고 이들 발생요인에 대한 생태계 정황을 바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현재 산림생태계 및 관리는 산림생태계가 동적이며 인간과 자연재해로 인한 훼손 모두에 의해 유발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개도국의 REDD+ 자발적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기구로서 FCPF(Forest Carbon Partnership Facility)를 설치해 현재까지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은행 FCPF의 REDD+ 참여국에 대해 산림벌채 및 산림훼손의 원인요인을 식별하고 이들 요인이 동적 산림생태계 시스템과 자연훼손과의 관련성에 대해 현재 이해와 일치하는지 어떤지를 점검했다. REDD+에 참여한 36개국의 국가서류는 Bank's Website에서 일반에게 공개하고 있다.

 

REDD+ 참여 36개국(아프리카 13개국, 아시아태평양 8개국, 라틴아메리카 카리브해 15개국)에서 산림벌채와 산림훼손의 요인을 토지사용과 토지덮개(풀, 나무, 관목, 벌거숭이 등) 등 변화를 문헌에서 추출하고 두 개의 광범위한 범주로 분류했다. 즉 근접(Approximate)과 저변(Underlying)이다. 근접은 인간 활동 또는 농장 확장과 같은 지방수준에서 즉각적 조치를 포함한다. 저변은 동적인구 또는 농업정책과 같은 근본적인 사회 발전과정이다.

 

분석 결과, 자연훼손 체제에서 생태계 동적시스템 저변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것을 알아냈다. 자연훼손이 얼마나 중요한지 REDD+ 참여국들은 이 연구에 참여할 때까지 알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은 REDD+ 프로젝트의 현재 설계에서 주 취약점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자연훼손의 역할에 대해 REDD+ 참여국들이 연구에 더욱 깊이 참여할 필요성을 건의한다.

 

저자
Pheakkdey Nguon, Dominik Kulakows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3
권(호)
33()
잡지명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332~345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