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기기의 비시각적 입출력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이나 키보드를 눈으로 직접 보지 않고도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터치스크린에 가한 물리적 힘에 의한 입력(터치, 두드리기, 누르기 등)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상태나 결과를 청각 또는 촉각을 사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출력(오디오, 진동 등)으로 내보내 준다.
○ 같은 터치라도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그 결과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 한 번 터치하면 현재 시간을 알려주고, 두 번 연속 터치하면 오늘 일정을 말해주고, 세 번 연속 터치하면 날씨를 알려 주지만, 전화가 왔을 경우에는 한 번 터치하면 전화를 받고, 두 번 연속 터치하면 상대방의 이름을 말해주고, 세 번 연속 터치하면 전화벨 소리를 무음 또는 진동으로 바꾸어 준다.
○ 아직까지는 터치 입력이라고 하면 모바일 기기 앞면에 있는 터치스크린에 터치를 하는 것이지만, 이 기술을 발전시키면 모바일 기기의 앞면, 뒷면, 옆면 또는 코너에서 터치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패턴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 국내 키프리스 특허 검색 시스템에서 관련 특허를 검색한 결과 스마트폰에서의 터치 또는 제스처 입력과 관련된 특허가 약 10여 건 검색되었는데 모두 2011년 이후 특허 등록이 되었다. 대부분은 터치스크린을 보면서 터치 또는 제스처 입력 방법으로 이 기술처럼 모바일 기기의 화면을 전혀 보지 않고 입력할 수 있는 특허는 아직 출원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터치 또는 제스처 입력으로 다양한 명령어를 구사한다고 하더라도 모바일 기기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단계별 진행과정을 음성으로 계속 들어야 한다. 그러나 회의실, 연주회장, 미술관 등과 같이 정숙해야 하는 장소에서는 음성 출력을 내보낼 수가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기술의 회피설계를 위해서는 소리를 내지 않고 단어 또는 문장을 인식할 수 있는 비시각적 출력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Google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066373
- 잡지명
- Computing device with force-triggered non-visual respons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7
- 분석자
- 이*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