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하탄층가스화(UCG)의 환경영향 우려

전문가 제언

지하석탄가스화(UCG: Underground Coal Gasification)는 주입 시추정을 통해 산소, 증기 또는 수소를 주입하여 지하 탄층에서 촉발되는 지하가스화 과정에서의 연소반응을 제어하여 생산정에서 합성가스(syngas)를 채굴하는 기술이다. 이때 산화제 주입, 확산방향 및 발화 진행방향에 따라 역연소방법과 정연소방법이 있으며, 상업적으로는 대부분 역연소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UCG 기술은 LVW-RCL(Reverse Combustion Linking), LVW(Linked Vertical Wells), CRIP(Controlled Retraction Injection Point) 외에 중국의 갱도 이용기술, 호주의 개선된 수직정 기술이용 등이 있다. 합성가스의 구성은 UCG의 경우 CO2 32.6%, 수소 30.2%, 메탄 18.2%, 일산화탄소 17.4%인 반면 지상은 일산화탄소 52.5%, 수소 36%, CO2 10% 순이다.

 

UCG는 광산재해 및 환경적 측면에서 안전성이 뛰어나다. UCG는 지하 채탄 근로자 불필요, 미진 및 소음 경감, 지상설비 최소화, 지상가스 발생장치 불필요, 지표 수질오염 감소, 유해가스 및 메탄방출 감소, 가행에 필요한 외부 용수 불필요, 오염수 배출 감소, 폐석 등 처리물질이 없으며 세탄 불필요, 폐광 시 지상재해 법적 책임 감소, CO2 처리 등 이점이 있다.

 

세계 주요 석탄산지에서 UCG 기술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일고 있다. 최근 UCG 프로젝트는 호주를 비롯하여 뉴질랜드, 남아공, 중국, 미국 동유럽, 인도네시아, 베트남, 파키스탄에서 UCG 타당성 분석이나 상업적인 UCG 프로젝트가 나타나고 있고 영국은 최근 해상 UCG 개발을 허가하였다.

 

국내에서의 UCG 기술개발이나 현장실험이 전무한 상태이다. 국내 탄전에의 UCG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탄전 지질구조가 복잡하여 탄층의 습곡, 단층 등 지질층서 및 구조적인 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그러나 탄층의 심도, 두께, 탄질, 경사, 연장 등에 대한 3차원적인 부존형태를 파악하고 탄층구조에 맞는 기술 적용과 타당성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UCG 기술 적용은 국내 육상 및 해상 탄전에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저자
Muhammad Imran, DileepKumar, NareshKumar, AbdulQayyum, AhmedSaeed, Muhammad Shamim Bhatt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31()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00~610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