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북아일랜드 풍력발전 비가공자료의 재해석

전문가 제언

풍력발전이 증가되어감에 따라 풍력시스템의 영향 연구에서는 미래의 풍력발전 방향과 풍력 가변성(wind variability)의 효율성도 예측해 가고 있다. 풍력 변풍성의 영향을 조사할 수 있는 최적 대안은 지상 10m 상부의 풍력발전용 설치기둥인 계류주(mast)의 기상 데이터를 이용해 풍력발전을 모사하는 기법이다. 그렇긴 하지만, 여기에는 역사적인 풍속기록이나 풍력발전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문제점으로 등장하고 있다. 역사는 과거사일 뿐인데, 측정기기의 눈부신 발전과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에는 과거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미래예측에 적용할 수 없으므로, 구시대 데이터와 예전 기기의 데이터는 재해석하여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기상/환경 등의 부문에서 그러하다.

 

계류주 데이터 즉 마스트-데이터(mast-data)는 풍력발전 바로 그 장소와 지점의 데이터가 아니므로, 완전한 데이터가 될 수 없다. 더욱이 지상 10m의 풍력이 풍력발전의 정확한 위치라고도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풍력발전의 전체적인 프로필(profile)을 왜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완적인 대안으로서는 재해석 데이터(reanalysis data) 기법을 이용하여 현재의 기상예보 모델과 결합시켜 완전히 그리드화된 시계열 풍력(gridded wind time-series)을 어느 지역에 대해 해석해내는 데이터 동화해석 기법(data assimilation technique)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
M. L. Kubik, D. J. Brayshaw, P. J. Coker, J. F. Barlowa,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3
권(호)
57()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58~561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