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집중형 태양 동력 장치의 고온 중앙 흡수기 설계 현황

전문가 제언

태양열 에너지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하거나 전기로 변환한 후 이용한다. 소규모로 태양열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열전달 작동유체의 온도가 저온이며 열에너지 직접이용 형태가 된다. 대규모의 경우 작동유체의 온도는 높고 변환 후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형태가 된다.

 

시스템 효율을 높이기 위한 집중형태양동력(CSP: Concentrated Solar Power) 형태에는 포물면구유(parabolic trough), Fresnel 반사기, 접시 반사기, 중앙동력탑(central power tower, helliostat 반사기 사용) 등이 있다. 고온 태양열기술에서는 주로 중앙발전 탑을 사용한다.

 

세계 CSP 시장은 확대일로에 있으며, 2013년 3월 MASDAR는 Abu Dhabi에 세계 제1의 포물면구유형 CSP 프로젝트인 100MWe의 Shams-I을 준공하였다. 2014년 1월 현재 스페인이 설비용량 2,204MW으로 세계 1위이며 세계 CSP의 90%는 포물면구유형이다.

 

발전 탑 기술은 포물면구유 기술에 비해 진전도가 낮다. California 주 Daggett의 Solar Two와 스페인 Almeria의 Plataforma가 유명한 실증발전소였다. 상용 발전소는 스페인의 Planta Solar 10(PS10)가 최초이며, 북미에서는 California의 Lancaster에 위치한 Sierra Sun Tower (5MW)가 유일하다. New Mexico에는 6MW급의 발전 시험설비인 NSTTF(National Solar Thermal Test Facility)가 있다.

 

타워형 태양열 발전 분야의 국내 업체는 대구도시가스(대성에너지 계열사), 한라산업개발(주), 코팩이티에스, 신양에너지 등이 활발하다. 타워형 태양열 발전 분야의 해외 업체는 Abengoa, Brightsource Energy, SolarReserve, eSolar 등이 활발하다. 대구 도시가스는 국내 최대 60m 높이 타워형 태양열 발전소를 2011년 6월 대구시 서변동에 건설했다.

 

태양열 발전은 태양광 발전에 밀려서 경쟁력이 아직은 충분하지 못하다. 하지만 기술 개발을 꾸준히 지속하여 환경이 바뀔 때 세계적 선두주자가 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할 것이다.

저자
Ho, Clifford K. ; Iverson, Brian 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29()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835~846
분석자
황*룡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