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생제 저항 보관소로서의 수 생태계

전문가 제언

항생제에 대한 저항균의 출현은 보건과 생명에 큰 손실을 가져오며 치료를 어렵게 하여 큰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암, 뇌졸중 등 현대의 수많은 질병들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들 질병 자체가 직접적인 사망의 원인이 되는 비율은 낮으며 오히려 미생물 병원체에 의한 사망이 적어도 70%를 차지한다.

 

본 리뷰에서는 병원, 농업, 축산업에서 사용하는 각종 항생제가 폐수 처리장 등으로 집적되어 저항성 세균의 출현이 높아지는 현황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즉, 항생제 저항성의 출현이 배출되는 항생제가 물과 토양에서 혼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최근 논문들을 분석한다. 따라서 항생제 저항성의 출현에 대한 기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며 국내에서의 현황에 대한 자세한 조사가 필요하다.

 

축산농에서의 항생제 과다 사용에 대한 각종 대책이 시행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규정들의 철저한 준수에 있다. 각종 질병 예방과 효율적인 증산을 위하여 사용되는 항생제에 대한 규제가 실시되고 있으며 대체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항생제 대체 방법으로 유산균을 포함한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적인 사용이 대두되고 있다.

 

퇴비 등 농업 분야에서의 항생제 사용 적정화 이외 병원 등 의료 기관에서의 항생제 남용을 위한 각종 대책이 요구된다. 의료 폐기물의 자연계 유입 방지를 위한 대책에는 근본적으로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수 환경이 항생제 저항성 출현의 주범임을 감안하여 물 환경의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다.

 

자연계에서의 항생제 농도, 저항성의 출현 등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보건과 농축산 당국 그리고 연구계가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국민 보건에 큰 영향을 끼치는 항생제 저항 문제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각종 정책의 수립과 효율적인 시행으로 항생제 사용의 제한을 통한 ARG의 확산이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
Elisabet Mart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2(1)
잡지명
Trends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6~41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