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옥시칼코겐화물 반도체 단결정의 제조

전문가 제언

반도체는 전도체와 절연체의 중간에 존재하는 전기 저항률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Ge, Se, ZnO, Si(100~104Ω-cm) 등은 흔하게 알고 있는 반도체이다. 묽은 식염수도 반도체 저항률의 범위에 속하나, 식염수를 반도체라고 하지는 않는다. 저항률이 금속의 경우와는 달리 어떤 온도범위에서 온도의 상승과 더불어 저항률이 감소하는 것이 반도체이다.

 

결정성장은 결정체의 구성성분을 감안하여 성장의 방법을 달리한다. 결정체를 만드는 목적은 고체화합물의 고유한 물성을 작은 소자 박편에 담아서 이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화학 분야에서 결정성장의 주목적은 고체화합물의 구조분석에 유래한다. 반도체가 발견되고 반도체를 활용하기 시작하고부터 ‘결정성장’이라는 용어가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옥시칼코겐화합물의 결정성장은 결정성장 역사에서 가장 초기 성장기술이다. 결정체성분을 용기에 담아서 용융한 다음 냉각시켜 간단하게 얻어지는 방법으로서 광물합성 방법과 유사하고, 실험실에서 쉽게 얻어지는 반도체 제조방법의 하나이다. 반도체 구성성분으로 VIA족과 IIA족 원소에서 화합물반도체는 다수 발견되고 있다.

 

반도체결정에 빛을 쬐면 저항이 감소하여 전도성이 증가한다. 원소나 화합물의 전기 저항의 정도를 가늠하는 인자는 원자 내부의 전자배열 상태와 관계가 있다. 반도체 경우에는 s2, p2, 또는 s2, p4 전자배열을 가진 반도체가 대부분이다. 여기에 전기음성도가 큰 산소(s2 p4)가 결합되어 전자이동도를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저자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WO20140066883
잡지명
WIPo/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1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