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업용 스타터 배양과 프로바이오틱스 품질 향상의 관문인 범유전체학(pangenomics)

전문가 제언

미생물의 유전체를 전체적으로 서열 분석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14년 전인 1995년으로서 그간에 분석 기술의 괄목할만한 발전은 분석 속도의 단축과 더불어 경비가 획기적으로 낮아졌다는 것이다. 또한 2005년의 경우 미생물에 비교유전체학과 유전자 획득과 손실 개념의 도입은 범유전체학의 아이디어로 이어졌다. 범유전체학은 특이 종 내 균주 간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핵심 유전자와 균주 특이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우수한 스타터 및 프로바이오틱스의 개발 방법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체계적인 접근이 어려웠다. 그러나 근래 각종 유전체학의 도입은 미생물 유전자 구성과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게 만들었다. 즉, 범유전체학 기술에서 확보한 유전 정보들은 산업용 스타터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개발에 이용하는 경우 개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전략의 이용 분야는 와인을 비롯한 주류 종균의 스타터 및 치즈 등 각종 발효 음식 분야이다. 범유전체학의 이용은 산업 분야별 해당 스타터 균주의 유전적 특성 규명이 보다 용이해지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김치 관련 미생물의 성상 규명에 범유전체학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김치의 고유 기능, 산도 등에 관련된 각종 매개 변수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버섯, 된장 등 각종 미생물 종균 개량 사업에 활용될 수 있다.

 

범유전체학을 스타터 및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생물정보학의 유용한 활용이 요구된다. 세계 다수 국가의 보건 및 미생물 산업 관련 공공기관에서 미생물 유전체에 관한 정보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 사이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유전자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근래 20년 사이에 미생물 유전체학은 신속한 발전을 이루어 각종 유용 균주 개발은 물론, 항생제 와 프로바이오틱스의 건강 이용 등 많은 당면 과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
Christel Garrigues,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3
권(호)
24()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7~191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