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체학(omics) 데이터의 독감 치료 도움 여부

전문가 제언

1. 독감(influenza)의 중요성과 치료 표적의 방향 전환

사람 독감 바이러스는 오랜 기간 동안 수백만 명의 인명 손실과 보건에 악영향을 주었다. 나아가 근래에 많이 유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조류 독감 바이러스는 엄청난 규모의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다. 1997년부터 유행하는 새로운 형의 독감 바이러스는 고병원성 조류 독감 H5N1형으로서 국내외적으로 지속적으로 유행하여 오고 있다. 보다 근래에는 새로운 H7N9이 중국에서 시작되어 사람에게 적응되어 다음의 세계적 유행을 일으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감기 바이러스를 저지시키기 위한 표적은 감기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단백질들을 대상하여 왔으나 이들 성분이 지속적으로 변화해 옴에 따라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체 전략으로서 바이러스 증식에 요구되는 세포성 인자 자체를 직접적으로 표적으로 하거나 유해한 숙주 반응을 피하는 방법들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 이들 전략들이 관련 전사체학(trans criptome) 분석이나 유전체 규모 siRNA와 같은 소위 체학(omics)들 데이터와 숙주 반응을 연관시키는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저자
Stephan Ludwig
자료유형
연구단신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2(5)
잡지명
Trends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32~233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