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생명공학에 식물세포배양의 이용 전망

전문가 제언

의약품, 향신료, 색소, 식품첨가제와 같은 식물유래 유용물질은 오랫동안 식물체로부터 직접 추출하는 방법으로 생산해 왔다. 그러나 식물체에서 추출한 유용물질을 상업화하는 것은 환경과 기후적 변화를 비롯해서 정치사회적인 문제 등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식물세포배양이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식물세포를 배양하여 생산하고 있는 유용물질은 거의 대부분이 2차대사산물이다.

 

식물세포배양은 식물체에서 분리한 세포를 배양기 내에서 무균상태로 배양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식물세포를 이용한 단백질 생산이 시도되고 있다. 식물세포는 배지조성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세포 외로 분비되는 재조합단백질은 자체의 불안정성 때문에 활성을 잃거나 배지 내의 여러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단점도 있다.

 

식물세포를 배양하여 식품성분을 상업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표적물질의 생합성대사경로를 이해하고 생산수율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이 리뷰는 전통적인 식물세포배양 기술을 통한 2차대사산물의 생산성 극대화 방법과 새로운 대사공학 기술을 통한 식품성분의 상업적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세포배양공학으로 제조한 제품의 경제성, 국제규정, 대중인식이 상업화의 장애임을 지적하였다.

 

국내에서는 항암제 paclitaxel 대량생산(최형균 등 2002) 및 추출(현정은, 김진현 2008)을 비롯하여 형질전환 식물세포를 이용한 2차대사산물의 생산연구가 추진되었으나 최근 이 분야의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2차대사산물의 상업적 생산에 필요한 기술은 세포주 개발 및 보존기술, 배지 및 배양공정 최적화 기술, 배양기설계 및 scale-up 기술, 물질분리 및 정제기술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표적물질의 고농도생산 세포주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Kevin M Davies and Simon C Derole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6()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3~140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