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ichia pastoris를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가 제언

현재 유전자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숙주세포로는 세균(E. coli)과 효모(S. cerevisiae, P. pastoris) 그리고 동물세포인 CHO세포가 있다. 이들 중 효모는 E. coli와 비교하여 몇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P. pastoris는 메탄올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재조합단백질을 세포 외로 분비하여 고농도 생산이 가능하다.

 

P. pastoris는 진핵세포의 단백질 생산에 이용되는 효모로 알코올산화효소(AOX)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며 메탄올에 의해 유도되고 다른 탄소원에 의해 억제되는 시스템이다. 이 리뷰에서는 P. pastoris를 이용하여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최근의 연구 동향, 특히 P. pastoris의 당쇄공학과 합성프로모터 창제를 통한 인간화된 글리코형 당단백질의 생산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효모는 1981년 이후 유전자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이용되기 시작하였고 실제 제약회사는 이 효모를 이용하여 의약품용 외래단백질을 생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P. pastoris에서 인간 lactoferrin 발현(임소용, 1997)에 이어 많은 이종 단백질 생산(강환구, 1998, 정태호, 2005, 이경훈, 2006, Lee Sung-Jae, 2007)과 유전자 탐색(홍지연, 2007) 등이 이뤄졌다.

 

최근에는 소 췌장 유래의 deoxyribonuclease I(조은수 등, 2012)를 비롯해서 많은 외국인이 재조합 laccase(Huifang, 2013)와 urokinase 생산(Li, 2013), tyrosine kinase와 phosphate 공동발현(Tu, 2014), 단백질분비(Liu, 2014, Govindappa, 2014) 등 P. pastoris를 이용한 많은 연구가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JMB)에 발표되었다.

 

메탄올자화 P. pastorisS. cerevisiae에서 발현된 당단백질에 비해 과당화 정도가 낮은 장점이 있고 강력한 알코올산화효소(AOX) 프로모터를 통해 단백질 발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효모를 이용한 유용 재조합단백질과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Thomas Vogl et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3
권(호)
24()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094~1101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