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셰일가스정책에서 윤리의 역할

전문가 제언

비재래 에너지자원은 성상에 따라 비재래 오일과 가스 자원으로 분류된다. 한편 매장형태에 따라 비재래 오일자원은 오일샌드, 초·중질유, 셰일오일 및 오일셰일 등으로, 비재래 가스자원은 셰일가스, 치밀 가스, 석탄층 메탄가스 및 가스 하이드레이드 등으로 구분된다. 비재래 가스자원인 셰일 가스는 탄화수소가 풍부한 셰일 층에서 개발 생산되는 천연가스로서 1800년대에 발견되었으나 개발기술의 제약으로 오랫동안 개발이 안 되었으며 미국, 중국, 중동 및 러시아 등 세계 31개국에 부존되어 있다.

 

셰일가스를 개발할 때 우라늄 등 화학물질들이 지하수에 스며들거나 오염물질인 메탄이나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므로 지구의 온난화를 가속화 시킬 수 있다고 언급한다. 따라서 셰일가스 개발기술은 환경/안전 및 경제성 문제에서 아직 확실성에 대한 검증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미국은 지역적 특수성으로 개발이 급성장 했지만 불확실성이 높아 적극적인 대응에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미국은 과학자, 정책 입안자 및 일반대중 가운데서 셰일가스 개발에 관련되는 세일가스의 비용과 편익에 상당한 논의를 해왔으며, 지금까지 과학적인 불확실성 면에서 몇몇 정부는 처리 금지, 지불유예 제정 및 셰일가스 개발에 대한 확실한 제재와 같은 결과들을 내놓고 있다. 이런 정책은 허위부정 오류 혹은 허위긍정 오류를 면하기 위해 미국의 정책입안자들은 ① 심각한 피해 보호는 복지 향상에 우선, ② 허위부정을 최소화는 주민 자율성 존중 및 ③ 많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동안 동일한 편익 제공을 근거로 허위부정을 최소화하려는 직무를 보여준다.

 

현재 셰일가스 자원개발은 북미지역에 한정된 붐이 아니라 점차 중국, 호주, 동남아로 확산될 전망에 있으므로 다양한 조건의 셰일가스 개발을 위하여 개선할 여지가 있는 초기기술이라는 면에서 아직 한국기업도 가스개발의 참여기회가 존재하지만 환경/안전 및 경제성 문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므로 효율적인 개발 참여를 위해 존재하고 있는 불확실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발 기술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Inmaculada de Melo-Marti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470()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14~1119
분석자
조*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