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립선암에서 PSA와 혈청과 뇨의 다른 표지

전문가 제언

전립선-특이 항원(PSA)은 종양 표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 중의 하나이고, 전립선암(PCa)이 정착하는 위험과 상관관계가 아주 깊다. 앞으로도 PSA는 PCa를 관리하는데 초기의 생물 지표로서 계속하여 사용될 것이다. 암이 뚜렷하게 나타나기 전 수년간 PSA의 예측 가치와 PCa 위험과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는 것은 확실하다. PSA는 뇨의 표시인 PCA3과 비교하여 표시로서 이점이 있다.

PSA의 특이성이 낮은 때문에 다른 표시를 찾아야 한다. 여기서 (-2)proPSA-기초 phi는 공격적 암과 상관관계가 있고, %fPSA와 PSA에 비교하여 진전된 특성을 보여주고, 반면 다른 표시는 의심스러운 데이터를 제공한다. PCA3은 18,000명 이상의 남자에서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종양의 공격성과는 상과관계가 의문이 있어, 재조사가 필요하다. PCa 가장 적합한 표시에서 phi와 PCA3의 비교는 거의 동등 수준이고, 뇨에서 TMPRESS:ERG 융합 단백질과 PCA3의 공동 측정은 PCa 감지를 향상할 수가 있어, 앞으로 연구가 주목된다.

국내에서는 전립선암의 생물 표시로서 여러 종합 병원의 비뇨기과에서 관심이 많고, 서울대 분당 병원에 홍성규 박사가 칼리크레인에 대한 연구를 많이 하여서 KLK3를 전립선암의 측정과 치료에 사용하였다. 한국 성인 남성에서 고려대학 문두건 교수팀은 PSA와 PSA mass(PSA를 형장량에 조정)를 전립선 크기와 비교하였는데 PSA 크기 측정에서 비만의 경우를 제외하고, PSA mass는 PSA보다도 예측 수치가 좋지는 않았다. fPSA와 fPSA mass는 PSA와 PSA mass보다도 정확한 예측을 하여, 앞으로 임상에 이용할 수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나, 국내 수준은 phi와 PCA3, TMPRESS-ERG 연구는 아직 착수하지 않은 것 같다.

저자
Stepha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1846()
잡지명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99~112
분석자
정*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