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전기전자폐기물 재활용처리의 인체부하영향

전문가 제언

1992년 이후 세계의 e-waste(또는 WEEE) 발생량은 11%/년씩 증가해서 2012년에 약 4,600만 톤이었고 2020년에는 자동차의 자동제어, 정보기기를 포함하면 3배 이상 증가될 것이다. 지속가능발전과 CO2저감(2012년 세계 배출량의 약 2% 저감)을 위해 더 많은 e-waste의 재이용, 재활용, 감량화가 필요하고 후진국에 의한 이동처리도 더 규제해야 한다.

 

e-waste재활용은 많은 이점이 있으나 처리과정에서 Pb, As, Cd, Cu, Hg 등 중금속과 PAHs, PCBs, PBDEs와 다이옥신 류 등 암, 신경독성, 면역독성, 유전변이 등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이 배출되므로 공식적이고 우수한 통합처리 기술개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보교환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세계 e-waste의 72%를 조잡하게 비공식적으로 처리하므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중국의 재활용처리장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 류, PBDEs, PCBs와 중금속 등에 직, 간접 노출되는 작업자와 지역주민의 인체부하를 인체시료를 통해 조직적으로 검토한 것이다(원문에 측정 자료들이 표로 정리되었음). 노출주민의 90% 이상이 식품 특히 어패류와 계란에 노출되고, 인체부하는 처리지역주민이 다른 지역보다 2~3배 이상 이었으며 신생아, 어린이와 산모는 20~60배나 되었다.

 

우리는 소각로의 철저한 다이옥신 관리결과, 국가 배출량이 2001/2009: 1,004/127gI-TEQ/yr, 대기농도 0.31/0.06pgI-TEQ/㎥로 크게 향상되었다. PCBs도 고온소각, 탈염소화처리 기술 등으로 처리해서 퇴적물의 PCBs농도가 2002/2007년에 4.5/1.7ng/g.dw로 크게 감소했다. 그러나 우리의 e-waste 재활용량은 EU의 40% 수준(2.9/7kg/인)이므로 생산자의 의무할당율과 품목을 증가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연구들도 POPs의 인체흡수는 대기흡입보다 음식물섭취이며 역시 어패류, 육류, 난류의 순이었으며, 2002/2009년 모유 중 다이옥신부하는 9.8/5.8pgI-TEQ/g로 많이 감소했으며, PBDEs는 산모혈액(7.5)보다 모유(16ng/g)가 높았고 전반적으로 서구인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저자
Qingbin Song, Jinhui L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한국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68()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2~93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