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업 스트림 오일 & 가스 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가 제언

인터넷의 영향력이 나날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경제적 부가가치가 인터넷에서 창출되고 있다. 최근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인 가트너, IDC 등은 향후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인터넷 신상업 분야로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빅 데이터 등을 꼽았으며 그중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신사업의 핵심 인프라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했다.

 

2005년부터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단어가 널리 퍼지기 시작하였으며, 당시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부분의 내용들은 SaaS(Software as a Service)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런 현상은 2007년까지 지속되었으며 2008년부터 IaaS(Infra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그 영역을 점차 넓혀가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퍼스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토종 서비스와 글로벌 서비스로 양분된다. 네이버의 “N 드라이브”나 다음의 “다음 클라우드”, KT의 “U 클라우드” 같은 스토리지형 토종 클라우드 서비스들은 30~50GB에 이르는 많은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반면, 구글 드라이브나 MS 스카이드라이브, 드롭박스 등은 2~5GB로 상대적으로 적은 무료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국내에서 구글 서비스는 직장인을 위한 앱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다. 구글 독스라는 웹 오피스와 구글 폼즈, 크롬 웹브라우저가 대학생을 비롯한 얼리 어댑터 사이에서 사랑받고 있지만, 직장인을 위한 이렇다 할 앱은 드물었다. 이에 구글이 2012년 4월 구글 독스를 개선해 “구글 드라이브”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출시했다.

 

우리나라는 현재 창조기업 육성의 토양이 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등 인터넷 신산업의 경쟁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선진국 대비 우리나라는 2년, 일본 1.5년, 중국 2.7년의 기술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내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R&D), 인력양성, 기반구축 및 제도개선 측면과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정부와 산업계, 관련 기관 등이 힘을 합쳐 노력해야 한다.

저자
Robert K.Perrons, AdamHem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3
권(호)
56()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732~737
분석자
심*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