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소 오염에 대한 정화기술 리뷰: 생물학적 유기체를 이용한 접근법

전문가 제언

토양오염이란 토양에 오염물질이 토양의 완충능력 한계 이상으로 부하될 때, 이들은 토양에 잔류 축적되어 농축산물, 인간에게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야기시킨다. 특히 중금속과 같은 난분해성 오염물질이 다량 존재하는 농경지에서 재배되는 작물들은 인간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높은 오염물질을 함유하게 된다. 이들에 대한 복원기법은 토양증가추출법, 고형화 및 안정화, 토양세척법, 퇴비화 공법, Bioventing, Air Sparging, Land farming, Soil Flushing, Slurry wall, 식물복원공정, 생물학적 복원기술, 열처리 기술 및 자연저감기법 등이 있다.

생물학적 복원기술은 지하 환경 내에 생존하고 있는 토착미생물의 성장과 활동을 촉진시켜 미생물의 신진대사를 통해 특정성분의 유기물 등을 분해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미생물에게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여 그들의 성장과 활동을 촉진시켜 오염물질을 제거 하는 기술이다.

 

최근에 비소가 음용수뿐 아니라 다양한 식품에서 확인되므로 세계적인문제가 됐다. 비소의 높은 독성 때문에 비소 오염은 인간 건강과 생태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대응 기술이 개발사용하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비소에 노출된 일부 식물과 수성 유기체에 의한 비소광물 형성과 축척 메커니즘의 설명에 상당한 노력을 해왔다. 이 글은 생물학적 도구는 비소로 인한 지구환경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최신 방법의 하나라고 언급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비소에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 처리에 있어서 토양은 주로 석회석, 슬러지 등등을 사용한 토양 복원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류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 처리에 생물학적 복원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중금속에 의한 토양 및 지하수에서는 사용이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중금속에 의한 효율적인 환경복원기술 수행을 위하여 중금속에 의한 토양 및 지하수에 대한 생물학적 복원기술 활용 및 연구의 진행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Shahedur Rahma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34()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75~185
분석자
조*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