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근의 일본 향료트렌드와 테크놀러지

전문가 제언

21세기가 되면서 생활의 풍요로움과 쾌적성 요구로 소비자의 감성을 반영한 섬유제품에 인간의 오감을 고려한 제품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후각을 고려한 방향성 섬유를 사용한 감성의복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섬유유연제 처리의 중요한 이유로 대전방지, 향기부여, 유연효과 등이 있으며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향의 종류가 다양하므로 소비자들의 섬유유연제 향에 대한 선호도가 섬유유연제 구매 시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된다.

 

섬유유연제 향의 트렌드는 1990년대는 비누와 같은 유연함과 부드러움을 표현하는 향기가 주였으며 2000년대는 항균성과 주름효과와 같은 유연제 기능을 보조하는 향기로 플로럴그린과 플로럴시트러스의 향기의 신선감이 주였고 2004년경은 악취의 마스킹효과와 플로럴파우더리와 플로럴스위티 등 캔디타입의 달콤한 향기가 강한 것과 바닐라의 특징을 갖는 타입이 증가되는 추세이며 의류의 향수라는 관점에서 새로운 타입으로 콜로뉴타입의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유연제 향의 지원기술인 열에 안정하고 피막 붕괴로 신선감을 증가시키며 향기 휘산을 지연시켜 잔향성을 높이는 캡슐화 기술은 전분캡슐에 물이 가해지면 향기가 발산되는 데오드란트제품에 적합하다. 또한 계면중합법에 의해 물에 용해되지 않는 코팅제를 사용한 멜라민캡슐은 잉크를 멜라민수지로 캡슐화한 것으로 논카본용지에 사용된다. 차세대 캡슐로 멜라민이 아닌 코팅제를 사용한 포름알데히드 후리 캡슐의 제품 기술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국내의 권 등은 감성과학(2005년)에서 “섬유유연제 향에 대한 주관적 선호도와 감성평가”에서 대학생들의 섬유유연제 향의 선호도 중 프리지아향이 가장 높고 피치향이 낮으며 각향의 감성구조가 다름을 보고한바 있으나 세대별 향기트렌드에 대한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

 

제품의 기호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므로 국내 소비자가 선호하는 트렌드의 향기타입을 선택하여 섬유유연제에 부합되는 상기 향료기술을 도입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Kenji Maruya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3
권(호)
260()
잡지명
香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5~81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