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배가 사이클을 제어하는 GIG1 유전자
- 전문가 제언
-
1세포 당 DNA양은 복제를 통하여 배가(倍加)된 다음 세포분열을 거쳐 원래 양으로 돌아가는 게 일반적이다. 다세포 체를 구성하는 각 세포는 어딘가에 일정한 DNA양을 유지한다. 그러나 동물이나 식물의 몸에는 통상 4배, 8배 혹은 그 이상의 DNA양을 가진 세포가 다소 존재하고 있다.
DNA 배가는 특히 곤충이나 식물에서 발견된다. 초파리 유충은 신경계 등 일부 조직을 제외하고 대부분 세포 배가로서 세포 체적을 늘려 유충이 성장한다. 식물도 종에 따라 다르지만,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등 배가가 현저한 것은 대부분 배가된 세포를 포함하고 있어서 조직에서 배가되지 않은 세포를 찾기 어렵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개체가 배수화된 배수체와는 다르다. 배수체는 수정란의 염색체 수가 모두 배가되므로 몸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의 염색체 수가 똑같이 배가된다. DNA 배가는 체세포 일부가 DNA양을 배가하는 현상으로 배가의 정도도 세포마다 다르다.
DNA 배가는 주로 내부복제(endoreplication)와 핵내분열(endomitosis) 2가지 다른 과정으로 일어난다. 둘 다 세포분열을 거쳐 DNA 복제를 반복하는 현상으로서, 분열에 따른 세포주기(mitotic cell cycle)와는 다른 특수한 세포주기(DNA 배가 사이클)가 있다.
- 저자
- Masaki Ito
- 자료유형
- 연구단신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3
- 권(호)
- 51(8)
- 잡지명
- 化學と生物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13~514
- 분석자
- 최*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