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아시아에서 수송되는 에어로졸 화학성분의 항공기 관측

전문가 제언

한중일은 1999년부터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조사사업을 추진하여 2004년 8월까지 실측 및 대기오염 모델링 작업을 완료하였고 이에 따라 각종 관측사업, 조림사업 등 공동보조를 하고 있다.

 

이후 매년 3국교대로 개최되는 회의는 올해 4월 28~29일 대구에서 시행되어 우선협력분야로 대기질 개선분야를 신설하기로 합의하고 정보공유, 공동연구, 인력교류 등 미세먼지에 대한 협력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하였다.

 

최근 수도권 미세먼지로 인한 연간 조기사망자는 약 2만 명, 폐질환 발생자는 약 80만 명으로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12조 3,000억 원에 달한다고 한다.

 

특히 미세먼지 속에 병원성 미생물이 있어 이러한 바이오 에어로졸이 대기순환 작용으로 부유상태에서 주위환경과의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대기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중고도 및 고고도에서 이동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에어로졸의 장기간 모니터링과 이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한 모델링분석연구가 필요하다.

 

기후변동에 관한 정부 간 패널인 IPCC 보고서에서는 황사, 자동차 배기가스, 바이오매스 연소, 석탄연소에 따른 황산염 에어로졸이 지구온난화에 기여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인도양, 동남아시아 인근의 아시아 지역상공에 갈색구름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도 중고도 상공에 분포하는 에어로졸에 대한 항공기 관측 등에 의한 체계적인 조사로 한국형예보 모델을 정립하여 보다 실시간 정밀예보에 대비하고 한중일 3국 간의 공조연구에 나설 필요가 있다.

저자
Shiro HATAKEYAMA, Takemitsu ARAKAKI, Izumi WATANABE, Daizhou ZHA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9(S1)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95~109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