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황사와 알레르기 질환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1/4 정도가 알레르기 비염을 앓고 있으며 특히 14세 이하 청소년과 어린이 가운데 10명 중 4명이 비염을 앓고 있는데 이 같은 추세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통계가 있다.

 

봄철에 이러한 알레르기 증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 가운데 대표적으로 황사와 꽃가루를 들고 있는데 알레르기 피부염도 유발한다고 한다.

 

특히 황사는 아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여 다량의 미세먼지와 함께 수천 킬로미터를 장거리 이동하며, 대기 중의 유해성 부유물질이 미세먼지와 결합해서 생태계와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데, 이 가운데 미세먼지 중 병원성 미생물도 있어서 알레르기성 질환 외에도 심폐질환이나 호흡질환을 일으켜 인체에 유해를 주는 것으로 많은 선행연구에서 밝히고 있다.

 

우리 정부에서는 황사로 인한 피해를 기상재해로 인식하여 2002년 4월 황사 특보제를 실시한 이래 배타선 PM10 장비를 총 28개소에 설치하고 중국과의 협조로 황사발원지에도 황사 관측장비를 설치하였고 중국기상국의 자료를 실시간으로 입수하여 황사예보에 나서고 있다.

 

현재 황사예보는 PM10 즉 10미크론 이하를 기준으로 1시간 평균 농도가 400㎍/㎥ 이상 상태가 2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황사주의보가 발령되는데, 최근에는 초미세먼지인 PM2.5 즉 2.5 미크론 이하가 점차 많아지고 있어서 기상청에서도 내년 1월부터 초미세먼지 경보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측은 지상 또는 위성을 통한 관측으로 장거리 이동의 황사에 대한 봄철과 여름의 오염물질에 대한 농도자료가 일관되지 않는 등 문제가 있으므로, 중고도의 라이더 등 항공기를 이용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측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Tomomi HIGASHI,Yasuhiro KAMBAYASHI,Masaki FUJIMURA,Noriyuki OHKURA,Tomokazu YOSHIZAKI,Sayaka NAKANISHI,Kiyofumi SAIJOH,Kazuichi HAYAKAWA,Fumihisa KOBAYASHI,Yoshimasa MICHIGAMI,Y. HITOMI,H. NAKA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9(S1)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2~217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