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광식 태양열 발전의 최신동향
- 전문가 제언
-
○ 환경친화적인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시스템에는 태양의 복사에너지인 열을 이용하는 경우와 태양광을 이용하는 경우로 크게 구분되는데, 태양광을 이용하는 태양전지의 전환율이 10~20% 이내에 불과한 반면 태양열의 경우 상대적으로 효율이 높아서 대규모 발전에는 태양열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태양열 발전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태양복사를 집광하여 태양 플럭스를 고도화시키는 집광기술이며, 집광기의 집광비에 따라 포물형 (parabolic trough), 발전탑형 (power tower), 접시형 (dish system) 으로 나눈다.
○ 그러나 집광기에서 집광비를 향상시키려면 태양고도의 이동에 따라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정열기술이 필수적이어서, 정열기술의 발달에 따라 최근에는 광학 정열기술로 발전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에너지기술원을 중심으로 접시형(dish) 태양열 집광시스템이 연구 개발되면서 산업용 중고온 태양열시스템의 실용화와 태양열 발전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2011년도부터 dish-stirling 발전시스템 상용화 사업이 진행 중이다.
○ 그러나 국내에서는 지리적 여건상 태양열 flux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시범사업은 2011년에 대성에너지와 대구가스 주도로 200㎾급 타워형 태양열발전소를 건설하고 있지만 사업성은 높지 않은 편이어서 국내보다는 세계시장을 염두에 두고 진행한다고 본다.
○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2025년에 약 36GW급 발전용량이 태양열발전으로 공급하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서 100조원 이상의 발전시장이 형성 예상되며 태양열 발전단가가 화력발전 단가와 경쟁 가능하게 됨에 따라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대구 태양열발전소를 활용한 관련기술 연구로 해외 수출시장 개척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 저자
- Lanxu Ren, Xiudong Wei, Zhenwu Lu, Weixing Yu, Wenbin Xu, Zhenfeng Sh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32()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6~83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