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신 CHO 시스템생물학 시대: 생물공학을 위한 ‘omics 혁명

전문가 제언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는 바이오-제약을 위한 주요 공장인데, 인간에 적합한 재조합단백질을 정확히 접고 후-전사적으로 조절하는 능력 때문이다. 특히 CHO-K1 세포계열이 최근 시퀀스된 이래 이들 세포공장을 증강하려는 기회가 생기고 있다. 현재 CHO 시스템생물학 시대는 진행 중이다. 단백질체학, 전사체학, 대사체학, 유동체학, 당질체학 등의 긴요한 ‘omics 데이터세트가 나오고 있어 CHO-세포 생리학의 분자기초를 해명토록 한다. 이 데이터세트와 수학모델의 결합으로 중요한 생물공학 통찰이 제공될 것이다. ‘omics 기술과 컴퓨터 시스템생물학이 완성됨으로써 게놈-규모 접근은 세포계열 발육과 대사조작을 혁신하여 단백질생산과 바이오공정을 개선할 것이다.

 

본 리뷰에 인용된 국내 연구자 논문은 “2차원 전기영동을 이용한 디하이드로 엽산 환원효소-결핍 CHO DG44 세포계통의 단백질 도해, 이 JS 등, Proteomics 10, 2010”이고, 관련논문은 “차세대 시퀀싱을 이용한 세균 게놈 해명, 김정곤 등,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17(5), 2012”, “miRGator v2.0: microRNAs 기능연구를 위한 통합시스템, 조수영 등, Nucleic Acids Research 39(1), 2011”, “생화학과 분자생물학을 위한 미세-유체공학 기술의 최근 진보, 조수원 등, BMB Reports 44(11), 2011” 외에도 많은 논문이 있는데 인간을 대상으로 한 의료분야에 치중되어 있다.

 

CHO-세포의 게놈 시퀀스로 광범위하게 조사된 표현형 차이가 유전적으로 해석될 것이다. 또한 전사체와 단백질체 데이터의 해석과 분석을 촉진하여 다양한 생장조건에 놓인 세포의 생리학적 상태를 다루도록 할 것이다. 시스템생물학 모델을 통한 게놈-정보와 전사체, 당질체, 대사체, 유동체의 결합으로 CHO-세포 고유 생물학의 근원적인 복잡성이 밝혀질 것이다. 이것은 장차 CHO의 생산력을 증강하고 촉진하는 대규모 세포조작 표적에 대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이 분야에 대한 국내 연구는 활발하여 곧 좋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Helene Faustrup Kildegaard, Deniz Baycin-Hizal, Nathan E Lewis and Michael J Betenbaug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3
권(호)
24()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102~1107
분석자
김*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