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터키의 스마트그리드 기회와 적용

전문가 제언

○ 현재 세계는 에너지 자원, 식량 및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가 커다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 중에서 에너지는 화석연료 고갈 및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 등 에너지로 인한 문제가 글로벌 이슈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이다. 전기에너지의 경우 기존전력망은 주로 대형 기존발전소를 그리드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이 증가하면서 소형발전소도 그리드에 연결하여 부족에너지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 이 경우에 재생에너지는 불연속적이고 소규모로 전력그리드에 연결하는 경우 문제가 야기될 수 있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그리드 기술이 최근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기술은 기존전력망에 ICT 기술을 접목하여 전력망의 신뢰성, 효율성, 보안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전력공급자와 수요자 간을 양방향, 실시간으로 상호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 기술이다.

 

○ 현재 미국은 노후화시설의 개선, 유럽은 재생에너지 활용, 일본은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에 중점을 두고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한 표준프레임워크 및 국제 표준화전략 로드맵을 발표(2010. 01)하는 등 선진국은 이미 표준화전략, 적합성 인증 및 제도적 기반을 갖추고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주도권 경쟁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향후 국가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비전을 갖고 세계 최초의 한국형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을 2030년까지 구축하여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스마트그리드에 필요한 첨단검침인프라(AMI), 분산형 에너지 관리시스템 및 실시간 가격제도(RTP) 등 부족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 주력하여 국제경쟁력을 갖춰야 할 것이다.

저자
Ilhami Colak,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4
권(호)
3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344~352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