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BOT 발전소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주는 인자

전문가 제언

일반적으로 BOT(Build, Operate and Transfer)는 외국기업이 스스로 자금조달을 통해 개발도상국에 플랜트를 건설, 일정기간 현지에서 조업을 하여 그 수익으로 투자 자본을 회수한 후에 그 플랜트를 상대국에 인도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투자자는 국내 민간투자자도 포함될 수 있으며, 주로 발전소 또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사업에 적용되고 있다.

 

또 이와 유사한 BTO(Build Transfer Operate)는 민간사업자가 시설 등을 건설하고, 시설완공 직후에 공공시설 등의 관리자에 소유권을 이전하고 민간사업자가 유지, 관리 및 운영을 수행하는 사업방식이다. BOO(Build Own Operate)는 민간사업자가 시설 등을 건설하고, 유지, 관리 및 운영하며 사업종료 시점에서 민간사업자가 시설을 해체 철거하는 등의 사업방식이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자금조달 및 운영기술 등의 어려움으로 BOT 방식으로 투자자가 공공시설 등의 건설을 수행한 후 운영하여 투자금액을 회수한 후에 인계받는 사업방식을 주로 택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에도 급격한 경제발전으로 인한 에너지수요, 특히 전력수요가 증가하면서 발전소 건설이 급박하게 되었으나 투자자금 및 운영기술의 부족 등으로 해외자본과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의 해결책으로 BOT 방식에 의해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사례를 이 글에서 기술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동남아 등에 발전설비를 BOT 방식으로 수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전은 필리핀의 Malaya 화력발전소(계약금액 250백만 불) 및 Ilijan 복합화력발전소(계약금 960백만 불)를 BOT 방식으로 수주하여 건설한 바 있다. 또한 금년 2월에 한국환경공단은 미얀마 양곤시의 791억 원 규모(7,000만 달러)의 폐기물 매립가스 발전사업 계약을 BOT 방식으로 체결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BOT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데는 실패위험에 대하여 해당 정부의 보증 등 충분한 사전검토가 필요하다.

저자
Zhen-Yu Zha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3
권(호)
22()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46~453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