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의 지혜: 혁신 크라우드소싱 경쟁
- 전문가 제언
-
○ 크라우드소싱은 크라우드(Crowd, 대중)가 소수의 유능한 사람들보다 지혜롭다는 사고에서 출발한다. ‘혁신 크라우드소싱’은 이러한 사고에 근거하여 혁신 아이디어나 전문적 해법을 크라우드로부터 구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의 고착된 아이디어나 편향성을 배제하고 '혁신 크라우드 경쟁'은 참여자의 경쟁적 제안을 유도하여 보다 훌륭한 아이디어의 도출하려는 것이다.
○ 온라인사회와 빅데이터(Big Data)는 지식과 새로운 아이디어의 중요한 원천이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려는 기업에게 데이터 분석의 수단으로서 혁신 크라우드소싱 경쟁의 잠재성은 크다. 문제를 빅데이터 분석에 수많은 전문가들에게 노출시키고 아이디어 경쟁의 유발로 획기적 첨단 분석기법에 빠르게 다가간다는 기대 때문이다.
○ 고도의 지식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 크라우드소싱의 현실적 과제는 전문가사회를 크라우드의 대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플랫폼(Platform)이다. Kaggle사의 플랫폼 사업모델은 향후 혁신 크라우드소싱의 발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혁신 크라우드소싱의 운영면에서 전문가 크라우드의 유인과 그 규모, 플랫폼의 특성, 경쟁구도의 다양성, 참여 동기 등의 영향에 대해 보다 심층 있는 연구가 있어야 한다. 고도의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들의 자유로운 참여와 열정을 도출하려면 동기부여가 될 요소를 파악하여 혁신 크라우드소싱의 프로세스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 혁신 크라우드소싱을 의뢰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내부 혁신프로세스와 혁신 크라우드소싱과 같은 외부 혁신프로세스의 균형과 혁신경영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지나친 외부 혁신프로세스에 의존하게 되면 내부의 전문가 역량에 문제를 야기하고 핵심역량에 대한 신뢰와 명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우리나라 기업들은 개방형 혁신방식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핵심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지식용량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Marian Garcia Martinez, Bryn Walt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4
- 권(호)
- 34(4)
- 잡지명
- Technov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203~214
- 분석자
- 서*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