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도시 미세먼지의 광학적, 물리화학적 특성
- 전문가 제언
-
○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혼탁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서울에서만이 아니고 세계적인 추세이다. 지구온난화의 의한 기후변화가 지구의 사막화를 부추기고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과정에서 미세먼지의 배출은 현저하게 증가되고 있다.
○ 미세먼지를 포함한 에어로졸의 증가는 지구대기의 기온을 변화 시킬 수 있고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어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 대기혼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미세먼지와 수증기이다. 수증기는 우리에게 대기오염으로 분류할 수 없고 전 지구상 대기에 포함된 양도 일정하다. 그러나 미세먼지는 토양 등 자연배출과 자동차 공장 등 인위적 오염 배출로 나누어진다.
○ 대기의 혼탁인자는 수증기를 포함한 미세입자의 Linke 인자로 구분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대기혼탁도는 옹그스트롬 인자(AAE)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인공위성 관측이나 지상관측 등에서도 표준화된 지수를 사용한다. 또 각종 측기도 AAE의 값에 맞추어 개발되어 있다.
○ 서울의 미세먼지에 의한 AAE혼탁인자 값은 연평균 오성남 연구에서 3.0~7.0의 값을 보였고 봄철에 경년변동과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유럽의 헝가리에서 수행된 연구결과이다. 에어로졸의 영향이 우리보다 매우 적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적인 지원으로 연구되고 있다. 경제, 환경, 군사, 재해 분야 등에 응용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보다 상세하고 첨단의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N. Utry, T. Ajtai, A. Filep, M. Pinter, Zs. Torok, Z. Bozoki, G. Szab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91()
- 잡지명
- Atmospheric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2~59
- 분석자
- 오*남
- 분석물
-